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 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 타입(자료형)이란, 변수에 적재할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키워드이다.
데이터 타입은 아래 2가지로 나뉜다.
- 기본형(primitive type) : 계산을 위해 실제 값을 저장
- 참조형(reference type) : 객체의 주소를 저장한다. (null or 객체의 주소)
기본형 타입
종류
- boolean
- char
-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특징
- 비객체 타입이므로 null 값을 가질 수 없다.
- 변수의 선언과 동시에 메모리에 생성
- 모든 값 타입은 메모리의 stack에 저장
- 저장공간에 실제 자료 값을 가진다
참조형 타입
기본형 타입을 제외한 나머지..
- 클래스
- 배열(Array)
- 열거형(Enumeration)
- 인터페이스
특징
- 기본형과 달리 실제 값이 아닌 저장된 공간의 주소를 저장한다.
- 메모리의 heap에 실제 값을 저장하고 그 주소 값을 stack에 저장한다.
- 참조형 변수는 null로 초기화 시킬 수 있다.
출처
☕ JAVA 변수의 기본형 & 참조형 타입 차이 이해하기
변수의 기본형 & 참조형 타입 변수(variable)란 데이터(data)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바에서 말하는 데이터 타입(자료형)이란, 변수에
inpa.tistory.com
'간단이론정리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비지 컬렉션 (GC, Garbage Collection) (1) (0) | 2024.06.15 |
---|---|
about Java 17 (0) | 2024.06.13 |
about Java 11 (0) | 2024.06.13 |
JAVA의 Wrapper Class와 Boxing & UnBoxing (0) | 2024.06.12 |
about Java 8 (0) | 2024.06.11 |